해당 포스팅은 이전에 작성한 CentOS7 - Java Web 서버 구축중
[Linux] CentOS7 - Java Web 서버 - 기초환경 설치 및 구성 #01
[Linux] CentOS7 - Java Web 서버 - 실운용을 위한 Tomcat 설정 #02
2개의 포스팅과 관련된 내용을 숙지한 사람을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1. EC2 - Amazon Linux 2 AMI 인스턴스 생성
AWS 관리 콘솔에서 EC2 메뉴를 선택한다.
01) AMI 선택
AMI선택 화면에서 Amazon Linux 2 AMI를 선택해 준다.
02) 인스턴스 유형 선택
※ EBS란 Elastic Block Store의 약자로 일종의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03) 인스턴스 구성
04) 스토리지 추가
※ 여기서 설정의 기본값은 8GB이다. 최대 30GB까지 프리티어로 가능하기에 가능하면 30GB로 변경하여 준다.
05) 태그 추가
06) 보안 그룹 구성
생성할 EC2에 방화벽 포트 사용을 위한 설정을 잡는다.
07) 검토
①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 키 페어 선택 또는 새 키 페어 생성 팝업창이 뜬다.
해당 포스팅은 처음 생성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명하고 있기에 여기서는 새 키페어 생성 을 선택하고
키 페어 이름을 작성하고 ② 키 페어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 가칭 )key-pairpem 파일을 꼭 다운로드 받는다.
( 해당 key-pair.pem 파일은 절대 잊어버리지 않게 잘 보관하도록 한다. )
파일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이우러 졌는지 ③ 확인을 마치고 나면 ④ 인스턴스를 시작한다.
위 모든 과정을 수행했다면 Amazon Linux 2 AMI 가 생성이 시작된다.
인스턴스 보기를 클릭해준다.
AWS EC2 관리창으로 넘어와서 인스턴스 상태가 ☑ 실행 중 으로 표기되면 EC2 인스턴스의 생성이 마무리 된것이다.
퍼블릭 IPv4 DNS 주소를 복사하여 SSH 원격 접속툴로 접근을 시도하자.
#2. Amazon Linux 2 AMI - 기본 구성 설치
해당 포스팅 내용은 이전 포스팅한 기본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Linux] CentOS7 - Java Web 서버 - 기초환경 설치 및 구성 #01( #5 Java JDK 설치, #6 Apache Tomcat 설치 )
[Linux] CentOS7 - Java Web 서버 - 실운용을 위한 Tomcat 설정 #02
포스팅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Amazon Linux 2 AMI가 CentOS7과 같은 Red Hat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아래 필요한 패키지들의 설치를 진행하여주고
$ sudo yum update -y
$ sudo yum install -y epel-release
$ sudo yum install -y kernel-devel
$ sudo yum install -y kernel-headers
$ sudo yum install -y policycoreutils-python
[Linux] CentOS7 - Java Web 서버 - 기초환경 설치 및 구성 #01 포스팅 내용의
#5. Java JDK 1.8 설치하기, #6. Apache Tomcat 8.5 설치하기 부터 진행을 하면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CM과 ALB로 구현하는 HTTPS 인증 가이드 (0) | 2025.02.21 |
---|---|
[AWS] Lmabda + DynamoDB 사용하기 (0) | 2024.04.30 |
[AWS] 데이터 베이스 환경 생성 - MariaDB (0) | 2021.12.23 |
[AWS] EC2 - Amazon Linux 2 SSL / TLS 인증 (0) | 2021.11.29 |
[AWS] 버전 관리 시스템 - GIT 원격지 서버 구축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