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노규성,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8page ~11page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
플랫폼의 가치는 기업의 비즈니스 구조나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빌꼐관계에 있다. 만약 플랫폼이 전체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들을 최대한 많이 포함하고 있다면, 그 가치는 상당할 것이다. 시스템을 개발 할 때 필요한 핵심 기능들은 매번 새로 개발하는 것보다 이전에 개발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를 개선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즉, 시스템 내에서 핵심 기능이나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플랫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은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효율성을 제공하는 플랫폼은 세 가지 측면에서 기업에 가치를 제공해 줄 것이다.
첫째, 플랫폼이 어떤 기능( function )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핵심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면 가치는 대단히 크겠지만, 고객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한다면 상대적으로 그 가치는 적을 것이다. 종종 플랫폼의 개념 설명에 등장하는 제품의 골격, 운영체제, 검색엔진, SNS 알고리즘 등과 같은 플랫폼은 기업의 전체 시스템에서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므로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최병삼, 2012).
둘째, 플랫폼의 반복적 사용과 공유에 따른 경제적 가치가 발생한다.
즉, 플랫폼은 하나의 뼈대( 골격 )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때문에 범위의 경제( economies of scope )로 인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갖게 해준다( 최병삼, 2012 ). 특히 각 참여자들이 개별적으로 처리할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데 비해 플랫폼을 공유하면 이러한 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히라노 아쓰시 칼 · 안드레이 학주, 2011 ). 또한 플랫폼을 구성하는 부품 등 다양한 요소들이 대량으로 사용되므로 규모의 경제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발생한다. 이 외에도 모듈의 재사용으로 안정성 제고와 개발 기간 단축 등의 효과도 있다.
셋째, 플랫폼은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ffect )도 제공한다( 최병삼, 2012; 조용호, 2011 ).
옥션은 파매자와 구매자를, 증권거래소는 매도자와 매수자를, 상점가는 점포와 고객을, 그리고 SNS는 다양한 개인들을 연결시켜 교류나 거래를 촉진한다( 히라노 아쓰시 칼 · 안드레이 학주, 2011 ). 즉, 플랫폼은 수요자와 공급자, 개발자와 사용자, 프로슈머( prosumer,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 )가 서로 원하는 것을 주고받는 공간이므로 참여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고 이로 이한 가치가 극대화 한다. AppStore의 예를 통해 설명해 보자.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AppStroe를 이용하는 것이 자신이 개발한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데 더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도 개발자들의 홈페이지를 일일이 찾아다니는 것보다 AppStore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 합리적이다. 결국 AppStore에 참여하는 개발자가 능러 등록 App이 증가하게 되면 App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도 늘어나고 이는 다시 개발자의 참여를 증가시켜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선순환 가치가 발생한다.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tform] 플랫폼의 성공 조건 (0) | 2024.11.24 |
---|---|
[Platform] 플랫폼의 개념 (0) | 2024.11.13 |
[Glossary]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 (0) | 2024.06.20 |
[Glossary] NDC( New Distribution Capability ) (0) | 2024.06.20 |
[Glossary] GDS( Global Distribution System ) (0) | 2024.06.20 |